반응형
광케이블 접속함체란?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 분배, 보호를 담당하는 핵심 설비예요. 통신 인프라에서 광케이블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로, 특히 건물 외벽, 통신실, 전신주, 지하 맨홀 등 다양한 환경에 설치돼요.
목차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역할
- 설치 위치와 구성 요소
- 종류별 특징 및 용도
- 설치 시 고려사항
- 실사용 사례 및 유지보수 팁
- 요약 및 마무리
1.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역할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단순히 광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넘어서, 외부 충격과 수분으로부터 접속 부위를 보호하고, 접속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장비예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아요.
- 광섬유 간 접속 및 고정
- 접속부 보호(내열, 방수, 방진)
- 여분 케이블 관리
- 라벨링 및 추적용 구조 제공
2. 설치 위치와 구성 요소
보통 맨홀, 기지국, 건물 통신실 등에 설치되며, 외부 환경에 따라 내구성과 방수 기능이 강화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아요:
- 본체 케이스: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 방수·방진 성능 확보
- 스플라이스 트레이: 광섬유 접속부를 안전하게 고정
- 케이블 고정 브라켓: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 고정
- 접지 장치: 낙뢰나 이상 전압 방지를 위한 접지선 포함
유형 | 설치 장소 | 특징 |
벽체형 접속함체 | 건물 내 통신실 | 소형, 벽에 고정 |
맨홀형 접속함체 | 지하 통신관로 | 방수/내구성 우수 |
기둥형 접속함체 | 전신주, 야외 | 자외선 차단, 온도 변화 대응 |
미니형 접속함체 | FTTH용 | 소형화, 가정용 분배함에 적합 |
4. 설치 시 고려사항
- IP등급 확인: 외부 설치 시 최소 IP65 이상 권장
- 작업 편의성: 케이블 수, 트레이 수에 따라 용량 확보 필요
- 내후성 소재 사용 여부: 열화 방지, UV 코팅 여부 확인
- 확장성 고려: 향후 증설 가능성을 고려한 포트 여유 확보
5. 실사용 사례 및 유지보수 팁
광케이블 접속함체 유지보수는 정기점검이 중요해요.
통신사나 공공기관에서는 분기마다 접속부 온도, 습도, 연결 상태를 측정해요. 접속부 간 손실(dB)은 일반적으로
0.1~0.3dB 이하가 유지돼야 안정적이에요.
또한 FTTH 설치 현장에서는 미니형 접속함체를 활용해, 한 건물 내 다수 가입자의 광선을 분배하고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