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광케이블 랜선 차이

by 매일내일 2025. 5. 10.
반응형

광케이블 랜선 차이, 제대로 알고 선택해야 한다.

인터넷 속도가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다. 영상 스트리밍, 게임, 원격근무, 클라우드 업무가 일상이 된 지금, 어떤 케이블을 쓰느냐에 따라 속도와 안정성에서 큰 차이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광케이블’과 ‘랜선’의 차이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제 성능을 내지 못한다면, 그 원인이 케이블일 수 있다.

1. 광케이블이란 무엇인가

광케이블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의 반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존의 전기 신호 대신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호 손실이 적고, 매우 긴 거리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인터넷 인프라의 핵심인 광케이블은 단순히 ‘빛으로 전송한다’는 개념을 넘어서, 세부 사양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게 난다. 특히 싱글모드(SMF)와 멀티모드(MMF) 광케이블은 전송 방식부터 가격, 활용 환경까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맞물려 광모듈(SFP, SFP+, QSFP 등) 선택까지 잘못하면 고속 네트워크 구성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다.

  • 최대 속도: 100 Gbps 이상 가능
  • 전송 거리: 단일 모드 기준으로 최대 40km 이상
  • 간섭 영향: 전자기 간섭 무관
  • 대표 용도: 통신사 백본망, IDC센터, 장거리 연결망

특히 ‘싱글모드’ 광케이블은 중앙통신망이나 도시 간 연결에 사용되며, ‘멀티모드’ 광케이블은 짧은 거리의 기업 내부망에 자주 쓰인다.

1-1. 싱글모드와 멀티모드 광케이블 차이

싱글모드는 긴 거리에서도 신호 손실이 거의 없어 통신사나 국가 간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멀티모드는 300m 내외의 짧은 거리에서 저비용으로 고속통신이 가능해 기업 내부망에 적합하다.

항목 싱글모드(SMF) 멀티모드(MMF)
전송 거리 최대 40~100km 이상 최대 300m~2km
전송 방식 단일 경로의 빛(레이저) 여러 경로의 빛(LED 또는 VCSEL)
코어 직경 약 8~10μm 약 50~62.5μm
빛 손실 매우 적음 경로 간 간섭으로 손실 발생
속도 지원 10Gbps~400Gbps 10Gbps~100Gbps
용도 광역 통신망, IDC 센터, 통신사 백본망 사무실, 데이터센터 랙 간 연결
비용 광케이블, 광모듈 모두 고가 케이블은 저렴, 모듈은 중간

 

 

2. 랜선(UTP 케이블)이란 무엇인가

랜선이라고 부르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은 전기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흔히 Cat5 e, Cat6, Cat6 a 등이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케이블이다.

  • Cat5 e: 최대 1 Gbps / 전송거리 100m
  • Cat6: 최대 10Gbps / 전송거리 55~100m
  • Cat6 a 이상: 최대 10 Gbps 이상 가능 / 간섭 차단 강화
  • 대표 용도: 가정용 PC 연결, 소규모 사무실, 공유기~인터넷 단말 간 연결

전기 신호이기 때문에 주변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EMI)에 민감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3. 광케이블과 랜선의 실질적 차이

구분 광케이블 랜선(UTP)
전송 방식 전기 신호
속도 최대 100Gbps 이상 Cat5e: 1Gbps, Cat6: 10Gbps
거리 최대 수십 km 최대 100m
간섭 없음 전자파 간섭 발생 가능
가격 고가 저렴
설치 난이도 전문가 필요 일반인도 설치 가능

 

통신 속도와 안정성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광케이블이 적합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이나 중소규모 사무실에서는 랜선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사용 환경에 맞게 적절한 선택을 하는 것이다.

4. 광케이블과 랜선 중 실제 사용 환경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가정 사용자라면?

  • 공유기 ~ PC 구간: Cat6 이상 사용 권장
  • 4K 스트리밍, 고사양 게임용 PC: Cat6a 또는 Shielded LAN
  • 거리 100m 이내: UTP로 충분

기업 또는 전문 사용자라면?

  • 서버 간 연결: 멀티모드 광케이블
  • 도시 간 통신망: 싱글모드 광케이블
  • 건물 내 백본망: 광케이블 + 스위칭 허브

5.. 케이블과 랜선, 자주 묻는 질문과 오해

Q. 광랜이면 무조건 광케이블인가?

아니다. ‘광랜’은 통신사에서 마케팅 용어로 쓰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로는 건물까지는 광케이블이지만, 가정 내에서는 일반 랜선으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진정한 광케이블 환경은 FTTH(Fiber To The Home) 방식이다. 이 방식은 광케이블이 집 내부까지 직접 들어오는 구조로, 한국에서는 2024년 기준 약 67%가 FTTH 기반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Q. 광케이블로 바꾸면 인터넷 속도가 10배 빨라지나?

단순히 광케이블을 설치했다고 해서 무조건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는다. 공유기, 포트, 컴퓨터 네트워크 카드가 모두 지원해야 한다. 병목 구간이 하나라도 있다면 전체 네트워크 성능이 제한된다.

6. 설치 시 주의사항

  • 광케이블은 내부에 유리섬유가 들어 있어 꺾이거나 충격을 받으면 손상될 수 있다. 설치 시 최소 곡률 반경을 유지해야 하며, 전문가 시공이 권장된다.
  • 반면 랜선은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 DIY에도 적합하다.

7. 광케이블과 랜선 중 내가 선택해야 할 것은?

  • 100m 이내, 저렴하고 간편한 설치, 기본적인 인터넷 사용이라면 → 랜선(Cat6 이상)
  • 장거리 고속 통신, 기업망 구축, 전자파 간섭이 심한 환경이라면 → 광케이블

인터넷 환경은 하드웨어, 네트워크 구조, 케이블의 성능이 함께 맞물려야 최적의 결과가 나온다. 케이블 하나 바꾸는 것이 전체 속도 개선의 핵심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가장 큰 병목이 될 수도 있다. 정확한 차이를 알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광모듈 구매 시 체크포인트

  • SMF용인지 MMF용인지 확인 필수
  • LC, SC 커넥터 타입 일치 확인
  • 호환 스위치/라우터 제조사(HP, Cisco, Mikrotik 등) 확인

예를 들어 Cisco용 SFP+ 모듈을 Mikrotik 스위치에 연결하면 호환성 문제로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제조사 전용 모듈 또는 OEM 호환 여부를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3. 설치 구성도 예시

  1. 싱글모드 구성 예시
    • 광케이블(SMF) → LC 커넥터 → SFP+ 싱글모드 모듈 → Cisco 스위치
    • 거리: 2km~80km까지 다양
    • 광모듈 Tx 파장 1310nm / Rx 파장 1550nm (또는 단일 파장 양방향: BiDi)
  2. 멀티모드 구성 예시
    • OM3 케이블(50/125μm) → LC 커넥터 → SFP+ 멀티모드 모듈 → 서버
    • 거리: 100m~300m
    • 파장: 850nm (LED 기반)

4. OM 등급도 중요하다 (멀티모드 전용)

멀티모드 케이블은 OM 등급(Optical Multimode)으로 품질과 전송 거리/속도를 구분한다. 2025년 기준 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등급은 OM3와 OM4다. OM1, OM2는 현재 신규 구축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기존 노후화된 환경에서만 일부 발견된다.

등급 속도 최대 전송 거리 (10Gbps 기준)
OM1 1Gbps 33m
OM2 1~10Gbps 82m
OM3 10Gbps 300m
OM4 10~100Gbps 400~550m
OM5 최대 400Gbps 차세대 광통신용

 

5. 헷갈리지 않으려면 이 기준만 기억하자

  • 장거리(1km 이상) + 고속 연결(10 Gbps 이상) → 싱글모드 + SFP+ 또는 QSFP+
  • 단거리(300m 이하) + 사무실/랙 간 연결 → 멀티모드 + OM3 케이블 + SFP+
  • 광모듈 파장이 SMF는 보통 1310nm/1550nm, MMF는 850nm 사용
  • 커넥터 타입(LX, LC, SC 등)도 반드시 일치 확인 필요

 

광케이블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 같은 성능을 내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케이블 종류, 광모듈 사양, 파장, 커넥터 규격까지 꼼꼼하게 맞아야 설비가 정상 작동하고 최적의 속도가 나온다.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속도가 부족하다고 느껴졌다면, 공유기나 인터넷 회선만 의심할 것이 아니라, 광케이블의 종류와 광모듈의 사양이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도 꼭 확인해봐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