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당락일이란 (feat. 배당금 세금)

by 매일내일 2024. 11. 15.
반응형

배당락일이란 주식시장에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즉,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날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배당락일이란?

배당락일이란 주식시장에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즉,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날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회사가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돈인 배당금은 주주로 등록된 사람만 배당금을 받을 수 있죠.

 

주식 거래에는 거래 +2일(T+2)이라는 규칙이 있어요. 즉, 내가 오늘 주식을 사면 2일 후에야 정식으로 내 이름이 주주 명단에 올라가요. 이 때문에 배당금을 받으려면 기준일 2일 전에 주식을 사거나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락일은 바로 "그 마감일 다음날"이라 배당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말해요.

 

쉽게 기억하기

  • 기준일: 배당금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날 (한국의 경우 보통 12월 31일).
  • 배당락일: 기준일 2 영업일 전,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
  • 배당을 받고 싶다면? 배당락일 하루 전날까지 주식을 사서 보유!

 

예시

  • 상황
    • 기준일이 12월 31일이라면:
      • 배당락일: 12월 28일 (영업일 기준).
      • 배당을 받으려면?
        👉 12월 27일까지 주식을 사야 합니다.
    날짜
    • 12월 27일: 이 날까지 주식을 사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음
    • 12월 28일: 배당락일 (이날부터 배당금 받을 권리 없음)
    • 12월 31일: 기준일 (주주 명단 확정)

배당락일에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

배당락일에는 “배당만큼 돈이 빠져나간다”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 어떤 회사 주식이 1주에 10,000원이고, 배당금이 500원이라고 해볼게요.
  • 배당락일이 되면 배당만큼 빠져나가 주가가 9,500원 정도로 조정될 수 있어요.
    이것이 자연스러운 주가 조정 현상입니다.

배당락일의 장점

1. 주가가 싸지는 날이에요.

  • 저렴하게 주식을 살 기회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배당금만큼 떨어져요.
    예를 들어,
    • 원래 주가가 10,000원인데, 배당금이 500원이라면 배당락일에 주가가 9,500원으로 내려갈 수 있어요.
    • 이때, 좋은 회사를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2. 미리 팔아서 돈 벌기

  • 배당락일 전에 주가가 오를 수도 있어요!
    사람들이 배당을 받으려고 주식을 많이 사면, 배당락일 전에 주가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어요.
    이때 배당금 대신 주가 상승으로 이익을 얻고 팔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원래 주가가 10,000원이었는데, 배당 받으려는 사람이 많아서 11,000원으로 오르면 바로 팔아서 이익을 챙길 수 있어요!

3. 세금을 줄일 기회

  • 배당금을 받으면 세금(15.4%)이 나가요.
    그런데 배당락일 이후 떨어진 주가로 주식을 사면 세금을 안 내고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어요!
    배당 소득세를 피하면서 장기적으로 좋은 주식을 싸게 살 기회입니다.

배당락은 투자 전략을 잘 세우면 돈도 벌고, 좋은 주식을 싸게 살 기회가 되는 중요한 날이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배당락일이란,  배당락일,  배당금, 배당금 세금

반응형